
최근 금융 시장에서는 대체거래소(Alternative Trading System, ATS)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특히, 한국에서도 '넥스트레이드(Nextrade)'라는 대체거래소가 출범하면서 이에 대한 기대와 우려가 교차하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넥스트레이드의 개념과 출범 배경, 그리고 대체거래소가 가지는 의미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1. 대체거래소(ATS)란 무엇인가?
대체거래소(ATS)는 기존의 전통적인 증권거래소(예: 한국거래소, KRX)와는 별도로 운영되는 전자거래 플랫폼입니다. 일반적인 증권거래소와 달리, 대체거래소는 보다 다양한 거래 방식을 지원하며, 일부 국가에서는 기존 거래소 대비 낮은 비용과 빠른 체결 속도를 강점으로 내세우고 있습니다. 주로 미국, 유럽 등 선진국 시장에서 활성화되어 있으며, 최근 한국에서도 도입이 본격화되었습니다.
2. 넥스트레이드(Nextrade) 출범 배경
넥스트레이드는 한국 최초의 대체거래소로, 2025년 3월 정식 출범하였습니다. 한국 금융위원회는 자본시장 혁신의 일환으로 기존 한국거래소(KRX)의 독점적 지위를 완화하고, 증권 시장의 경쟁을 촉진하기 위해 대체거래소 도입을 추진해 왔습니다.
그동안 한국 증권 시장은 단일 거래소 체제로 운영되어 왔으며, 이는 투자자들의 거래 비용 증가와 시장 유동성 저하 등의 문제를 초래할 수 있었습니다. 이에 따라, 보다 효율적인 거래 환경을 구축하고, 글로벌 금융 시장과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대체거래소의 필요성이 대두되었습니다.
특히, 해외 주요 금융 시장에서는 이미 다수의 대체거래소가 운영 중이며, 이를 통해 투자자들은 더 나은 거래 환경을 누릴 수 있었습니다. 한국에서도 이러한 글로벌 흐름을 반영해 대체거래소 설립을 추진하게 된 것입니다.
3. 넥스트레이드의 특징
넥스트레이드는 기존 한국거래소와 차별화된 몇 가지 특징을 갖추고 있습니다.
1. 낮은 거래 수수료: 기존 거래소 대비 20~40% 낮은 수수료를 책정하여 투자자들의 부담을 줄였습니다.
○ 메이커(Maker, 지정가 주문) 거래: 0.00134%
○ 테이커(Taker, 시장가 주문) 거래: 0.00182%
○ 단일가 매매: 평균 0.00158%
2. 다양한 거래 방식 지원: 기관 투자자들이 선호하는 블록딜(Block Deal) 및 다크풀(Dark Pool) 거래를 점진적으로 도입하고 있습니다. 이는 대량 매매 및 비공개 거래를 통한 시장 충격 완화를 목적으로 합니다.
3. 거래 시간 연장: 기존 오전 9시 개장·오후 3시 30분 폐장(6시간 30분)이었던 국내 주식시장의 거래 시간이 아침 8시부터 저녁 8시까지(12시간)로 연장되었습니다.
○ 프리마켓: 오전 8시 ~ 8시 50분
○ 정규장: 오전 9시 ~ 오후 3시 20분
○ 애프터마켓: 오후 3시 40분 ~ 오후 8시
4. 기술 기반의 빠른 거래 체결: 고빈도 거래(High-Frequency Trading, HFT)를 지원하여 체결 속도를 기존 한국거래소(KRX)보다 단축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5. 시장조성 기능 제한: 초기 3년간 시장조성자(Market Maker) 운영이 금지되며, 거래소의 자연스러운 유동성 공급을 유도합니다.
6. 기존 거래소와의 차별화된 운영 방식: 한국거래소(KRX)와 동일한 호가 접속 방식을 사용하지 않으며, 중간가 호가, 스톱 지정가 호가 등의 새로운 주문 체계를 도입하여 거래 효율성을 높였습니다.
7. 거래 가능 종목 확대:
○ 출범 2주 차까지 10개 종목 거래 가능
○ 이후 110개, 350개, 800개 등 매주 거래 종목 확대 예정
○ ETF(상장지수펀드), ETN(상장지수증권) 거래는 현재 불가
4. 넥스트레이드 도입이 가져올 변화
넥스트레이드의 출범은 한국 증권 시장에 다양한 변화를 불러올 것으로 예상됩니다.
○ 거래 활성화: 대체거래소 도입으로 투자자들에게 더 많은 선택지가 주어지고, 이에 따라 거래량이 증가할 가능성이 큽니다.
○ 수수료 인하 압력: KRX 대비 20~40% 낮은 수수료 적용으로 인해 기존 한국거래소(KRX)도 경쟁적으로 수수료를 낮출 가능성이 높습니다.
○ 시장 구조 변화: 단일 집중형 거래소에서 다원화된 거래 환경으로 전환되면서 거래 기술 혁신과 다양한 거래 전략 도입이 예상됩니다.
○ 외국인 투자자 유입 증가: 다크풀 및 블록딜 거래 방식 도입으로 인해 해외 기관 투자자들의 접근성이 증가할 가능성이 큽니다.
○ 장시간 거래로 인한 유동성 증가: 기존보다 거래 시간이 늘어나면서 글로벌 투자자들의 참여 기회가 확대될 것으로 보입니다.
5. 넥스트레이드에 대한 기대와 우려
넥스트레이드의 도입은 분명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지만, 몇 가지 우려도 존재합니다.
기대 요인
○ 기존 거래소와의 경쟁을 통핸 시장 효율성 제고
○ 다양한 거래 방식 도입으로 투자자들의 편의성 증대
○ 글로벌 금융 시장과의 정합성 강화
○ 수수료 인하 및 거래 효율성 개선
○ 장시간 거래 도입으로 투자 기회 확대
우려 요인
○ 초기 도입 과정에서의 기술적 안정성 문제 (신규 거래 시스템의 안정성이 검증되지 않음)
○ 한국거래소(KRX)와의 공존 및 유동성 분산 문제 (투자자들의 거래가 분산될 가능성)
○ 규제 미비로 인한 시장 혼란 가능성 (금융당국이 새로운 대체거래소 규제를 완전히 정립하지 않음)
○ 시장조성 기능 부재로 인한 초기 유동성 부족
○ 장시간 거래로 인한 변동성 증가 가능성
6. 마무리
넥스트레이드의 출범은 한국 자본시장에 새로운 전환점을 가져올 것으로 기대됩니다. 기존 한국거래소의 독점적 구조에서 벗어나 경쟁 체제가 도입되면, 투자자들에게 더 많은 선택권이 주어지고, 시장의 효율성이 향상될 가능성이 큽니다. 하지만 대체거래소가 성공적으로 자리 잡기 위해서는 적절한 규제와 시장 안정성이 함께 뒷받침되어야 할 것입니다.
앞으로 넥스트레이드가 어떤 방식으로 시장에 안착할지, 그리고 한국 금융 시장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합니다. 향후 변화에 대해 주목하며 투자자들은 신중한 접근이 요구됩니다.